2022~2023년만 해도 “메타버스”는 거품처럼 꺼져버린 키워드로 불렸습니다.
VRChat, Roblox, Meta Horizon 같은 서비스가 여전히 존재했지만, 대중적 관심은 AI에 쏠렸죠.
하지만 2025년 현재, 분위기가 조금 달라졌습니다.
메타버스라는 단어 대신 Spatial Computing(공간 컴퓨팅),
그리고 AI World-Building(인공지능이 만드는 가상세계)이라는 키워드가 새로운 국면을 만들고 있어요.
Spatial Computing은 단순 VR/AR을 넘어 현실 공간과 디지털 객체가 섞여서 상호작용하는 컴퓨팅 패러다임이에요.
- 애플 Vision Pro: 공간에서 앱을 띄우고, 손으로 직접 조작
- 메타 Quest 4: 혼합현실 기반의 게임·협업 툴
- 삼성 XR 헤드셋: 구글 생태계와 연결된 새로운 MR 기기
즉, 화면 속 세상이 아니라 공간 속에서 앱을 실행하는 경험을 말합니다.
예전에는 메타버스 공간을 만들려면 디자이너·개발자가 수개월간 모델링하고 코딩해야 했습니다.
이제는 다릅니다. “AI야, 해리포터풍 성을 만들어줘”라고 말하면 바로 월드가 생성돼요.
Unreal Engine + AI: 프롬프트 기반 월드 생성, NPC 자동 생성
Roblox + AI Assistant: 아이템·맵 자동 생성 지원
Unity Muse: 코드·아트 리소스를 자동 생성
AI가 단순한 오브젝트 생성기를 넘어, 스토리·캐릭터·환경까지 함께 설계하는 시대가 온 거예요.
제작 비용 절감: 과거 수개월 걸리던 맵 제작 → 몇 분 안에 프로토타입 완성
창작 민주화: 프로그래밍·3D 경험 없는 사용자도 “말로” 공간 제작 가능
실시간 상호작용: NPC가 GPT-4o 같은 모델로 동작하며 플레이어와 자연스러운 대화
산업 확장성: 게임을 넘어, 교육·건축·브랜드 마케팅에 활용
Meta Horizon Worlds: AI 빌더 기능 도입 → 사용자 생성 콘텐츠 증가
Roblox AI Code Assist: 어린이도 명령어만 입력하면 게임 제작 가능
Apple Vision Pro 앱 생태계: 디자이너들이 Figma→3D 앱 변환을 AI와 함께 실험 중
건축/부동산: 실제 설계 전, AI가 VR 공간에 시뮬레이션된 건물·도시를 자동 생성
구분 | 기존 메타버스 | AI World-Building 기반 메타버스 |
---|---|---|
제작 방식 | 수작업 모델링·코딩 | 프롬프트 기반 자동 생성 |
제작 시간 | 수개월 | 수분~수시간 |
참여자 | 전문 개발자 위주 | 누구나 창작 가능 |
NPC | 사전 스크립트 | AI 기반 동적 행동 |
활용 범위 | 게임 중심 | 교육, 마케팅, 협업 등 전방위 |
교육: 역사 수업에서 AI가 고대 로마 도시를 생성해 학생들이 직접 체험
브랜드 마케팅: 글로벌 기업이 AI가 만든 인터랙티브 월드를 광고 캠페인에 활용
부동산/건축: 건물 설계·인테리어 시뮬레이션을 AI 월드로 먼저 구현
원격 협업: 화상회의 대신 “AI가 만든 가상 사무실”에서 아바타들이 모여 일함
World Model 연구 발전: OpenAI, Google DeepMind가 ‘월드 시뮬레이션 모델’ 연구 중
표준 플랫폼 경쟁: Unreal vs Unity vs Roblox vs Apple, 누가 “AI 메타버스 표준”이 될까?
경제 시스템 결합: 월드빌딩 + NFT/디지털 자산이 결합된 새로운 크리에이터 경제
하이브리드 UX: 현실 공간과 AI가 만든 월드를 오가며 사용하는 혼합 경험 확산
1. C# (Unity)
Unity는 AR/VR/XR 콘텐츠 제작의 대표 엔진.
Vision Pro, Meta Quest, Hololens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 지원.
AI SDK와도 통합하기 쉽고, XR 스타트업·게임사에서 가장 많이 쓰는 언어예요.
추천 대상: AR 앱, VR 게임, 인터랙티브 교육/훈련 시뮬레이션 만들고 싶은 사람.
2. C++ (Unreal Engine)
Unreal Engine은 영화급 그래픽과 대규모 가상세계에 강점.
메타버스·디지털 트윈·AI 월드빌딩 연구에서도 많이 활용.
C++는 난이도가 있지만, 성능 최적화와 AAA급 그래픽 구현에는 사실상 표준.
추천 대상: 대규모 월드, 하이퀄리티 XR 경험, AI+3D 시뮬레이션에 도전하는 사람.
3. Swift / Objective-C (Apple Vision Pro / SpatialKit)
애플은 visionOS라는 별도의 공간 OS를 발표했어요.
Vision Pro 앱은 SwiftUI + RealityKit(3D API) 기반.
iOS 개발자라면 Swift로 빠르게 적응 가능.
추천 대상: Vision Pro용 앱, iOS 기반 XR/Spatial 서비스.
4. JavaScript / TypeScript (WebXR / Three.js / Babylon.js)
브라우저 기반 WebXR 표준을 통해 AR/VR 경험을 만들 수 있어요.
Three.js, Babylon.js 같은 라이브러리로 3D/VR 씬 제작 가능.
설치 필요 없이 웹에서 바로 돌아가는 XR 경험을 원한다면 필수.
추천 대상: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가벼운 XR/3D 앱, 교육/전시/마케팅 프로젝트.
5. Python (AI + Prototyping)
직접 XR 앱을 배포하기엔 적합하지 않지만,
AI 월드빌딩, 데이터 처리, 3D 오브젝트 생성, 시뮬레이션에 널리 쓰임.
Blender API, Houdini, AI 모델 연결할 때 자주 활용.
추천 대상: AI 기반 월드빌딩, 프로토타입 제작, 데이터·모델링 자동화.
1. 빠르게 시작하고 싶다 → Unity + C#
2. 하이엔드 그래픽 → Unreal Engine + C++
3. Apple Vision Pro 타겟 → Swift + RealityKit
4. 웹·크로스플랫폼 XR → WebXR + JavaScript/TypeScript
5. AI + XR 융합 → Python (AI 툴과 3D 엔진 연결)